2008.06.17 22:21 작업/리눅스
Redhat 계열 리눅스에 새 하드디스크 추가
우선, 디스크 장착 후 /dev 위치에서 새롭게 추가된 디스크가 제대로 인식되었는지 확인 후, fdisk 명령으로 파티션 분할 작업을 수행한다.
우리 회사의 경우 fdisk /dev/cciss/c1d1이므로,
p명령으로 존재하는 파티션이 있는지 확인 후, 없으면 n을 입력하여 새로운 파티션 추가. 모든 파티션이 추가되었으면 p명령으로 정상적으로 파티션 분할 작업이 되었는지 확인 후, w명령을 입력하여 파티션 정보를 저장한 뒤 fdisk 종료.
다음은 포맷 작업을 수행한다.
회사 시스템의 경우
다음으로 mount할 디렉토리를 생성한 뒤, mount 작업을 수행한다.
다음 작업은 옵션 작업으로, 파티션의 LABEL 이름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Redhat 계열에서 Disk Druid를 사용하여 설치한 경우 /etc/fstab 파일이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
만약, 파티션의 LABEL 이름을 지정하였으면 위의 형태와 비슷하게
LABEL=로 시작하는 항목을 추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파티션 이름을 직접 입력하여 부팅시 자동으로 mount 되도록 한다.
작업을 할 때 궁금했던 점이 각 라인의 맨 마지막 부분인데, 각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맨 앞의 0, 1 : 1은 dump가 가능한 파일시스템이라는 의미, 0은 dump 명령어로 덤프가 되지 않는 파일시스템을 의미
2) 그 뒤 숫자의 의미 : 0,1,2가 올 수 있음. 아래 숫자의 순서대로 fsck가 실행된다고 함.
0 : 부팅시 fsck가 실행되지 않음
1 : 루트파일 시스템을 의미
2 : 그 외 파일시스템을 의미.
참조 :
1. 네이버 지식인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dir_id=10202&eid=kuFlxBOUyS4RNwiHndg+houHC3CRm/XF&qb=uK60qr26ILXwvbrFqSDD37Ch&pid=faPGjsoQsCGssuvm6YZsss--294443&sid=SFegbXZ9V0gAABbNGbg
2. 홈피디자인닷컴 : http://flashcafe.org/bbs/board.php?bo_table=server_study&wr_id=312&page=2
3. http://dbtown.net/gnuboard4/bbs/board.php?bo_table=linux&wr_id=52
# fdisk [device name]
우리 회사의 경우 fdisk /dev/cciss/c1d1이므로,
# fdisk /dev/cciss/c1d1
p명령으로 존재하는 파티션이 있는지 확인 후, 없으면 n을 입력하여 새로운 파티션 추가. 모든 파티션이 추가되었으면 p명령으로 정상적으로 파티션 분할 작업이 되었는지 확인 후, w명령을 입력하여 파티션 정보를 저장한 뒤 fdisk 종료.
다음은 포맷 작업을 수행한다.
# mke2fs -j [파티션]
회사 시스템의 경우
# mke2fs -j /dev/cciss/c1d1p1
다음으로 mount할 디렉토리를 생성한 뒤, mount 작업을 수행한다.
# mount -t ext3 /dev/cciss/c1d1p1 /oradata
다음 작업은 옵션 작업으로, 파티션의 LABEL 이름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 e2label /dev/cciss/c1d1p1 /oradata
Redhat 계열에서 Disk Druid를 사용하여 설치한 경우 /etc/fstab 파일이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
LABEL=/ / ext3 defaults 1 1
LABEL=/var /var ext3 defaults 1 2
LABEL=/home /home ext3 defaults 1 2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LABEL=SW-cciss/c1d0p3 swap swap defaults 0 0
LABEL=/var /var ext3 defaults 1 2
LABEL=/home /home ext3 defaults 1 2
tmpfs /dev/shm tmpfs defaults 0 0
devpts /dev/pts devpts gid=5,mode=620 0 0
sysfs /sys sysfs defaults 0 0
proc /proc proc defaults 0 0
LABEL=SW-cciss/c1d0p3 swap swap defaults 0 0
만약, 파티션의 LABEL 이름을 지정하였으면 위의 형태와 비슷하게
LABEL=로 시작하는 항목을 추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파티션 이름을 직접 입력하여 부팅시 자동으로 mount 되도록 한다.
작업을 할 때 궁금했던 점이 각 라인의 맨 마지막 부분인데, 각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맨 앞의 0, 1 : 1은 dump가 가능한 파일시스템이라는 의미, 0은 dump 명령어로 덤프가 되지 않는 파일시스템을 의미
2) 그 뒤 숫자의 의미 : 0,1,2가 올 수 있음. 아래 숫자의 순서대로 fsck가 실행된다고 함.
0 : 부팅시 fsck가 실행되지 않음
1 : 루트파일 시스템을 의미
2 : 그 외 파일시스템을 의미.
참조 :
1. 네이버 지식인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dir_id=10202&eid=kuFlxBOUyS4RNwiHndg+houHC3CRm/XF&qb=uK60qr26ILXwvbrFqSDD37Ch&pid=faPGjsoQsCGssuvm6YZsss--294443&sid=SFegbXZ9V0gAABbNGbg
2. 홈피디자인닷컴 : http://flashcafe.org/bbs/board.php?bo_table=server_study&wr_id=312&page=2
3. http://dbtown.net/gnuboard4/bbs/board.php?bo_table=linux&wr_id=52
'작업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linux 사용시 주의점 (1) | 2008.12.23 |
---|---|
redhat linux 시스템 서비스 생성시 주의 사항 (0) | 2008.11.14 |
CentOS를 이용해서 LVS를 구축하는 경우 (3) | 2008.10.15 |
Linux Clustering 서비스 구축 시 (0) | 2008.10.08 |
아~~ 졸라 어렵다... (6) | 2008.10.07 |
Redhat 계열 리눅스에 새 하드디스크 추가 (0) | 2008.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