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12.23 18:20 작업/리눅스
SElinux 사용시 주의점
그동안에 SELinux 설정을 disable시키거나 강제가 아닌 허용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하다가 이번에 서버를 다시 설치하고 SELinux 관련 설정을 변경하지 않았더니, 컴파일한 프로그램에서 shared library를 open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왜 그런지 한참을 해매다가 우연하게 ldd 명령으로 확인하다보니 permission 어쩌고 하는 오류가 발생...
구글링으로 찾아보니, SELinux와 관련된 사항이었다.
이에 기록용으로 shared library에 권한을 주는 명령을 적어본다.
혹은 다른 자료에서는 이러한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IDL과 관련된 공유 라이브러리에 실행 권한을 주는 방법인데...
하지만, 난 위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SELinux 모드를 '강제'에서 '허용'으로 변경. 으흐흐
또 다시 수많은 시스템 로그가 쌓이겠지? ㅠ.ㅠ 귀찮다.
왜 그런지 한참을 해매다가 우연하게 ldd 명령으로 확인하다보니 permission 어쩌고 하는 오류가 발생...
구글링으로 찾아보니, SELinux와 관련된 사항이었다.
이에 기록용으로 shared library에 권한을 주는 명령을 적어본다.
# chcon -t texrel_shlib_t [shared library path]
혹은 다른 자료에서는 이러한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IDL과 관련된 공유 라이브러리에 실행 권한을 주는 방법인데...
# chcon -t texrel_shlib_t /usr/local/rsi/idl_6.3/bin/bin.linux.x86/*.so
하지만, 난 위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SELinux 모드를 '강제'에서 '허용'으로 변경. 으흐흐
또 다시 수많은 시스템 로그가 쌓이겠지? ㅠ.ㅠ 귀찮다.
'작업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5.2를 이용한 브릿지 방화벽 구축 (0) | 2009.01.16 |
---|---|
rpm 삭제 오류시 대처 방법 (0) | 2008.12.24 |
SElinux 사용시 주의점 (1) | 2008.12.23 |
redhat linux 시스템 서비스 생성시 주의 사항 (0) | 2008.11.14 |
CentOS를 이용해서 LVS를 구축하는 경우 (3) | 2008.10.15 |
Linux Clustering 서비스 구축 시 (0) | 2008.10.08 |